국가개황
카자흐스탄 국가개황 | |
---|---|
국가명 | 카자흐스탄(Republic of Kazakhstan) |
수도 | 아스타나(Astana) |
면적 | 2,717,300㎢(EIU, 2022년 4월 기준) |
인구 | 19,178,753명(카자흐스탄 통계청, 2022년 4월 기준) |
민족 | 카자흐인(69.01%), 러시아인(18.42%), 우즈벡인(3.29%), 우크라이나인(1.36%), 위구르인(1.48%), 따따르인(1.06%), 독일인(0.92%), 기타 민족(3.28%) 등 |
언어 | 카자흐어(국어), 러시아어(공용어) |
종교 | 이슬람교, 러시아정교(국교는 없음) |
기후 | 대륙성 기후 1월 평균기온: 북부 –18℃, 남부 –8℃ 7월 평균기온: 북부 20℃, 남부 28~30℃ 평균 강우량: 250mm(남부 약 200mm) |
통화 | 텡게(Tenge, KZT) |
기타 | 우리 국민은 1회 최대 30일간 무비자 입국 허용, 최초 입국인 기준 180일 이내 최대 60일까지 체류 가능 |
정식 국가명칭은 카자흐스탄(Republic of Kazakhstan)이며 수도는 아스타나(Astana)이다. 국가면적은 272만㎢로 한반도의 약 12배 정도의 크기이며 인구는 약 1,917만 명으로 수도인 아스타나에 124만 명, 경제도시인 알마티에 203만 명이 거주한다. 민족구성은 카자흐인 69%, 러시아인 18.4%, 우즈벡인 3.3%, 위구르인 1.5% 등이며, 언어는 카자흐스탄어(공식국어)와 러시아어(공용어)를 함께 사용한다. 카자흐스탄의 기후는 연교차 및 일교차가 매우 큰 대륙성 기후이며, 국교는 없으나 이슬람교와 러시아 정교 비율이 높다.
경제 및 주요산업 현황
카자흐스탄은 넓은 영토와 석유, 우라늄, 철광석, 크롬, 아연 등 풍부한 자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자원을 활용하여 중앙아시아를 선도하는 국가이다.
주요지표 | 단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명목GDP | 십억달러 | 174.7 | 176.3 | 168.4 | 199.9 | 215.6 |
1인당명목GDP | 달러 | 9,750 | 9,750 | 8,780 | 9,830 | 10,230 |
경제성장률 | % | 4.1 | 4.5 | -2.6 | 3.7 | 4.2 |
수출액 | 십억달러 | 60.65 | 57.68 | 48.15 | 62.59 | 83.29 |
수입액 | 십억달러 | 32.27 | 38.42 | 39.61 | 42.42 | 51.50 |
무역수지 | 십억달러 | 28.38 | 19.26 | 8.54 | 20.17 | 31.79 |
물가상승률 | % | 5.3 | 5.4 | 7.4 | 8.0 | 4.5 |
※ 자료 출처: 세계은행(Theworldbank)
시장특성
카자흐스탄은 넓은 영토와 석유, 우라늄, 철광석, 크롬, 아연 등 풍부한 자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자원을 활용하여 중앙아시아를 선도하는 국가이다. 석유 및 관련 제품이 전체 수출의 약 58%에 달할 정도로 석유 산업에 의존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 대비 인구 규모는 작지만 1인당 GDP가 1만 달러 수준으로 소득 수준 대비 소비가 높아 시장 잠재력이 크고, 14세~28세의 인구비율이 20%로 젊고 유능한 노동력을 풍부하게 갖추고 있다.
카자흐스탄은 중앙아 지역의 주요 운송 및 물류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 중국과 남아시아 시장을 카스피해의 도로, 철도 및 항구를 통해 러시아 및 서유럽 시장과 연결하며 약 5억명의 소비자에게 무역 관문을 제공한다.
년도 | 수출 | 수입 | 무역수지(천$) | ||
---|---|---|---|---|---|
수출액(천$) | 수출증감률(%) | 수입액(천$) | 수입증감률(%) | ||
2018 | 797,818 | 49.8 | 1,362,109 | 36.4 | -564,291 |
2019 | 2,657,131 | 233.0 | 1,561,644 | 14.6 | 1,095,487 |
2020 | 1,997,529 | -24.8 | 1,090,196 | -30.2 | 907,333 |
2021 | 769,065 | -61.5 | 2,442,299 | 124.0 | -1,673,234 |
2022 | 1,655,098 | 115.2 | 4,869,471 | 99.4 | -3,214,373 |
※자료 출처: 한국무역협회(kita)
카자흐스탄 표준화기구
CTRM(Technical Regulation and Metrology Committee of the Ministry of Trade and Integration)
NCA(National Center of Accreditation)
KazStandart
수입 규제 및 관세제도
중앙아시아는 다른 국가와 마찬가지로 각종 공공질서, 영토 수호, 정치적 독립 및 국가 주권의 저해와 전쟁, 폭력, 테러 및 종교적, 인종적 차별을 목적으로 한 인쇄출판물, 원고, 그림, 사진, 영화 등의 매체물의 수입을 금하고 있으며 기타 수입금지 품목은 아래와 같다.
카자흐스탄은 2014년 형성된 유라시아 경제연합(EAEU) 회원국으로 러시아, 벨라루스, 키르기스스탄과 함께 제3국에서의 수입에 대해 동일관세를 적용하고 있다. 카자흐 수입품의 관세는 HS코드체계(Harmonized Tariffsystem)에 따라 정해지며, 수입통관 시 부과되는 세금은 수입관세와 부가가치세로 나뉜다. 수입관세는 HS코드에 따라 부과되며, 부가가치세는 12%가 부과된다. 개인이 육로/해상 국경을 통과하여 물품을 반입할 시 총 상품가치 500유로 이하, 무게 25kg 이하의 물품은 관세 없이 수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