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가개황

카자흐스탄 국가 개황
카자흐스탄 국가개황
국가명 카자흐스탄(Republic of Kazakhstan)
수도 아스타나(Astana)
면적 2,717,300㎢(EIU, 2022년 4월 기준)
인구 19,178,753명(카자흐스탄 통계청, 2022년 4월 기준)
민족 카자흐인(69.01%), 러시아인(18.42%), 우즈벡인(3.29%), 우크라이나인(1.36%), 위구르인(1.48%), 따따르인(1.06%), 독일인(0.92%), 기타 민족(3.28%) 등
언어 카자흐어(국어), 러시아어(공용어)
종교 이슬람교, 러시아정교(국교는 없음)
기후 대륙성 기후
1월 평균기온: 북부 –18℃, 남부 –8℃
7월 평균기온: 북부 20℃, 남부 28~30℃
평균 강우량: 250mm(남부 약 200mm)
통화 텡게(Tenge, KZT)
기타 우리 국민은 1회 최대 30일간 무비자 입국 허용, 최초 입국인 기준 180일 이내 최대 60일까지 체류 가능

정식 국가명칭은 카자흐스탄(Republic of Kazakhstan)이며 수도는 아스타나(Astana)이다. 국가면적은 272만㎢로 한반도의 약 12배 정도의 크기이며 인구는 약 1,917만 명으로 수도인 아스타나에 124만 명, 경제도시인 알마티에 203만 명이 거주한다. 민족구성은 카자흐인 69%, 러시아인 18.4%, 우즈벡인 3.3%, 위구르인 1.5% 등이며, 언어는 카자흐스탄어(공식국어)와 러시아어(공용어)를 함께 사용한다. 카자흐스탄의 기후는 연교차 및 일교차가 매우 큰 대륙성 기후이며, 국교는 없으나 이슬람교와 러시아 정교 비율이 높다.

경제 및 주요산업 현황

카자흐스탄은 넓은 영토와 석유, 우라늄, 철광석, 크롬, 아연 등 풍부한 자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자원을 활용하여 중앙아시아를 선도하는 국가이다.

카자흐스탄 경제개황
경제 및 주요산업 현황
주요지표 단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명목GDP 십억달러 174.7 176.3 168.4 199.9 215.6
1인당명목GDP 달러 9,750 9,750 8,780 9,830 10,230
경제성장률 % 4.1 4.5 -2.6 3.7 4.2
수출액 십억달러 60.65 57.68 48.15 62.59 83.29
수입액 십억달러 32.27 38.42 39.61 42.42 51.50
무역수지 십억달러 28.38 19.26 8.54 20.17 31.79
물가상승률 % 5.3 5.4 7.4 8.0 4.5

※ 자료 출처: 세계은행(Theworldbank)

시장특성

카자흐스탄은 넓은 영토와 석유, 우라늄, 철광석, 크롬, 아연 등 풍부한 자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자원을 활용하여 중앙아시아를 선도하는 국가이다. 석유 및 관련 제품이 전체 수출의 약 58%에 달할 정도로 석유 산업에 의존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 대비 인구 규모는 작지만 1인당 GDP가 1만 달러 수준으로 소득 수준 대비 소비가 높아 시장 잠재력이 크고, 14세~28세의 인구비율이 20%로 젊고 유능한 노동력을 풍부하게 갖추고 있다.

카자흐스탄은 중앙아 지역의 주요 운송 및 물류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 중국과 남아시아 시장을 카스피해의 도로, 철도 및 항구를 통해 러시아 및 서유럽 시장과 연결하며 약 5억명의 소비자에게 무역 관문을 제공한다.

한국의 對 카자흐스탄 수출입 동향
한국의 對 카자흐스탄 수출입 동향
년도 수출 수입 무역수지(천$)
수출액(천$) 수출증감률(%) 수입액(천$) 수입증감률(%)
2018 797,818 49.8 1,362,109 36.4 -564,291
2019 2,657,131 233.0 1,561,644 14.6 1,095,487
2020 1,997,529 -24.8 1,090,196 -30.2 907,333
2021 769,065 -61.5 2,442,299 124.0 -1,673,234
2022 1,655,098 115.2 4,869,471 99.4 -3,214,373

※자료 출처: 한국무역협회(kita)

 對 카자흐스탄 수출입 동향 및 무역수지('18-'22)

카자흐스탄 표준화기구

 카자흐스탄 표준화기구

CTRM(Technical Regulation and Metrology Committee of the Ministry of Trade and Integration)

  • ISO Member body
  • 카자흐스탄 기술규제 및 계량위원회로 카자흐스탄 기술규제에 대한 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제품 인증 및 실험실 인증을 위한 규칙을 정의하고 개발한다.

NCA(National Center of Accreditation)

  • 카자흐스탄 국가인정센터로 적합성평가 분야의 총괄책임 및 인정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KazStandart

  • 카자흐스탄 국가표준청으로 표준화 및 기술규제, 측정의 통일성 확보에 관한 업무를 수행한다.

수입 규제 및 관세제도

수입금지 품목 종류

중앙아시아는 다른 국가와 마찬가지로 각종 공공질서, 영토 수호, 정치적 독립 및 국가 주권의 저해와 전쟁, 폭력, 테러 및 종교적, 인종적 차별을 목적으로 한 인쇄출판물, 원고, 그림, 사진, 영화 등의 매체물의 수입을 금하고 있으며 기타 수입금지 품목은 아래와 같다.

  • 각종 무기류, 탄약, 군용장비, 대량살상무기, 대량살상무기 원료
  • 마약류, 항정신의약품
  • 국가 및 사회 시스템의 훼손을 목적으로 제작된 모든 인쇄물 및 시각 자료
  • 독극물, 방사성물질
  • 정보수집활동을 위한 특수장비 및 암호화(해독) 관련 도구
관세 제도

카자흐스탄은 2014년 형성된 유라시아 경제연합(EAEU) 회원국으로 러시아, 벨라루스, 키르기스스탄과 함께 제3국에서의 수입에 대해 동일관세를 적용하고 있다. 카자흐 수입품의 관세는 HS코드체계(Harmonized Tariffsystem)에 따라 정해지며, 수입통관 시 부과되는 세금은 수입관세와 부가가치세로 나뉜다. 수입관세는 HS코드에 따라 부과되며, 부가가치세는 12%가 부과된다. 개인이 육로/해상 국경을 통과하여 물품을 반입할 시 총 상품가치 500유로 이하, 무게 25kg 이하의 물품은 관세 없이 수입할 수 있다.